-
(12. 7) 일본, 美 진주만 공습(1941)today in world history 2021. 12. 7. 13:31
12월 7일 오늘은 일본군이 미국의 하와이를 기습공격한지 80주년이 되는 날이다.
이날 오전 7시 55분(하와이 시간), 하와이 오아후 섬 상공 구름 사이로 붉은 일본 욱일승천기를 날개에 새긴 일본 잠수폭격기가 모습을 드러냈다. 이 폭격기 뒤로 360대의 일본 전투기가 맹렬한 속도로 진주만의 미 해군기지를 목표로 공격을 위한 하강을 하고 있었고, 이어 맹렬한 기습공격이 시작됐다.
이 기습공격은 미 태평양 함대에 치명타를 입혔고 미국이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는 한 명분이 된다.
이 공습의 기미는 이미 예고되고 있었다.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미 대통령과 그의 참모들은 일본과의 외교협상이 결렬되면서 일본의 공격이 임박할 것이라는 것을 알았지만, 진주만의 중요한 해군기지의 경계와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어떠한 조치도 취해지지 않았다.
이날은 일요일 아침이었고, 많은 군인들은 예배와 미사 등 주일 종교행사를 위해 기지에서 벗어나고 있었다.
오전 7시 2분, 두 명의 미군 레이더 조종사가 북쪽에서 섬을 향해 비행 중인 대형 항공기들을 포착했지만, 당시 미 공군 B-17의 비행이 예상되고 있었기 때문에, 그들은 경보를 울리지 말라는 지시를 받았다. 따라서 일본군의 공습은 미 해군기지에 대한 기습공격이었다.
일본의 이 기습공격으로 미 태평양함대의 대부분은 무용지물이 되었다.
이 사고로 전함 8척 중 5척과 구축함 3척, 기타 7척이 침몰하거나 큰 피해를 입었으며, 항공기 200여대가 파괴됐다. 많은 병사들이 기습공격 상황에서도 용감하게 공격을 물리치려했으나, 미군 2,400명이 사망하고 1,200명이 부상을 입는 등 인명 손실이 엄청 컸다. 일본의 손실은 비행기 30대, 잠수함 5대, 병력 100명 미만이었다.
이런 와중에서도 미국으로서는 다행스럽게도 태평양 함대 3척이 모두 해상에 나와 훈련기동을 하고 있었다.
이 항공모함들은 6개월 후 미드웨이 해전에서 일본에 대한 치명적인 복수를 함으로써 일본해군을 패전으로 몰아갔고, 태평양 전쟁의 승기를 마련할 수 있었다.
진주만이 폭격당한 그 다음 날 루스벨트 대통령은 미국 상하원 합동회의에 출석,
"어제 1941년 12월 7일, 미국이 갑자기 일본 제국의 해군과 공군의 공격을 받았다"고 선언했다.
짧고 힘찬 연설 후, 루스벨트는 미. 일 간의 전쟁 상태를 선포하는 결의안을 승인해 줄 것을 의회에 요청했다.
상원은 대일 전쟁 찬반투표에서 82대 0으로, 하원은 388대 1로 결의안을 가결했다.
미국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에 반대했던 독실한 평화주의자인 몬태나 주의 자넷 랭킨(Jannette Rankin) 하원의원이 유일한 반대자였다.
3일 뒤 독일과 이탈리아가 미국에 선전포고를 했고, 미국도 선전포고를 했다.
관련기사:
https://www.history.com/this-day-in-history/pearl-harbor-bombed
Pearl Harbor bombed
At 7:55 a.m. Hawaii time, a Japanese dive bomber bearing the red symbol of the Rising Sun of Japan on its wings appears out of the clouds above the island of
www.history.com
'today in world h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9. 9) 마오 쩌둥(毛澤東) 사망(1976) (0) 2021.09.09 (8. 31) 다이애나 왕세자비, 자동차사고로 사망 at 36(1997) (0) 2021.08.31 (5월 29일) E. 힐러리와 T. 노르게이 에베레스트 첫 등정(1953) (0) 2021.05.29 (5. 20) 美 연방대법원, ‘로머 對 에반스(Romer V. Evans)’ 케이스를 통해 동성애자들의 권리를 보장(1996) (0) 2021.05.20 (3. 10) 티베트, 중국에 무장 봉기(1959) (0) 2021.03.10